일본의 협소주택

Hat House 

by Apollo Architects & Associates



아래의 집 원문출처를 방문해보면 어떤 덧글이 있다. 이름으로 보아 일본인은 아닌듯 한데, 요지는 '이 건축사무소의 다른 작품은 맘에 드는데, 이 집은 너무 어두워보인다.'이다. 반면에 원 글로부터 건축가의 코멘트에서는 '주변으로부터 빛을 받아들이고 있다'라는 말을 수 차례에 걸처 강조하는듯 하다. 


도쿄 또한 북반구에 속하며, 위도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가정한다면, 빛을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남쪽에 개방창을 두는 것이 아마도 유리할 것이지만, 도면에 방위는 표시되어있지 않았고, 북쪽을 윗쪽으로 그렸으리라 짐작하고 본다면, 첫번째 사진에서의 빛의 각도가 잘 설명되지 않기에 방위 또한 잘 판단할 수 없어보인다. 


빛의 문제는 아마도 건축가들이 가장 신경을 써가며 시뮬레이션 하는 부분이리라 생각한다. 에너지를 위해서도, 거주자의 심리적인 안정과 건강을 생각하더라도 충분한 빛을 받아들이는 것은 아마도 매우 중요한 문제일 것이다. 


그러나 도심지역, 특히 서울과 같은 과밀도심지역에서 그것을 몰라서 못하는 것은 아닐것이다. 특히 협소주택이라고 한다면, 빛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일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따라서 부지 선정에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상황이다.


그러면 부지가 이미 선정되어 있다고 치고, 빛이라는 가치와 같이 고려할 것이 아마도 조망일 것이다. 사면이 터져있고 주변경관이 훌륭하다면 이는 교환되어야 할 가치, 또는 기회비용과 비슷한 개념으로 생각할 것은 아닐 것이다. 즉 하나를 위하여 다른 하나를 포기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경관이 그리 좋지 않다면, 주면으로의 시선을 고의적으로 차단하게 될 경우라면, 부득이하게 빛과 경관은 기회비용의 개념이 될 수밖에 없다. 


일본의 협소주택에 주목하는 이유가 이러한 위치와 환경(자연 및 인문적인)의 유사성에 있다.

빛을 다루는 문제는 일부 자연의 문제이면서, 일부 건축가의 아이디어의 문제이다.



원문출처 : https://www.dezeen.com/2016/08/24/hat-apollo-architects-earthquake-resistant-concrete-house-tokyo-japan/





뾰족한 나무지붕 탓에 건축가는 이 집을 '모자'라고 이름 짓게 되었다. 이 3층 집은 신주쿠에 위치해있는데, 건축가는 이 지역에서 도쿄의 예전 호시절의 자취를 찾아볼 수 있다고 한다.




디자인은 변화하고 있는 토속적인 정취에 맞으면서도 2011년 대지진 이후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내진설계에 맞도록 하는 것이었다. 결과는 두꺼운 콘크리트벽과 전통적인 목구조 프레임 지붕을 섞은 마치 육면체와 비슷한 모양이 되었다.





모자를 닯은 지붕을 가진 매력적인 노출콘크리트 박스형의 집은 행인들의 시선을 끈다.





이 집은 50대 부부와 원 소유자였던 그들 부부의 노모를 위하여 기존 집을 허물고 신축되었다. 어머니는 반지하층에 거주하고 이들 부부는 그 위 두개의 층을 사용한다. 




맨 윗층의 가족 거실은 목구조 프레임이 지붕을 그대로 노출시킨다. 이 구조는 건축가가 수차례에 걸쳐 보여왔듯이, 노아의 방주와 핀란드 건축가인 알바알토의 작품을 참조한 디자인이다. 이곳에서 거주자는 커다란 삼각형 창을 통하여 집 입구를 형성하는 개방뜰을 조망할 수 있다. 






건축가 구로사키는 뜰과 다락같은 작은 공간을 통하여 몽골 유목민의 텐트인 유르트를 연상할 수도 있다고 말한다. 지붕은 마치 큰 나무 아래에 있는 집처럼, 주변의 빛을 받아들이며 작은 공간에서의 안정감을 느낄 수도 있다고 한다.






아이들을 위한 침실은 맨 윗층에 위치해있고, 부부의 침실과 욕실은 중간층에 있다. 같은 층에는 나란한 두 개의 서재가 수납을 위한 벽장을 옆에 두고 있다. 






지층은 간단한 거실과 식당을 가진 스튜디오 형식의 공간과 별도의 욕실 및 부엌공간, 그리고 전통 다다미방으로 구성된다.






건축가는 집이 외부와 단절된것 처럼 보일 수 있지만 뜰로부터 풍부한 빛을 받아들여 내부는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재료는 그대로 노출되어 부드러운 콘크리트, 어두운 색의 금속재질, 월넛 바닥, 그리고 흰색 페인트칠을 한 벽 등, 다양한 톤과 택스쳐를 만들어낸다. 얇은 띠모양의 창문과 계단실의 개방벽면 등 또한 빛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집은 2016년에 완공되었으며. 연면적은 약 79제곱미터(약 24평)이다.












Project credits:

Architecture: Apollo Architects & Associates (Satoshi Kurosaki)
Structural engineer: Nomura Structure (Nomura Motoi)
Mechanical engineer: Naoki Matsumoto
Lighting design: Sirius Lighting Office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


스미요시 주택(Azuma House) - By 안도 다다오(Tadao Ando)




구글링으로 스미요시 주택을 검색하면 Azuma House 또는 Row House 라는 말을 접하게 된다. 우선 Azuma House는 이 집의 주인이 '아즈마'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Row House는 이 집의 형태 때문인데, 번역하면 '연립주택'이라고 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연립주택'하면 떠오르는 3층짜리 예전 빌라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아래의 사진과 같이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벽을 맞대고 옆으로 죽 늘어서있는 주택들을 생각하면 된다. Row는 '줄' 또는 '열'이라는 뜻인데, 위로가 아닌 옆으로 열을 지어 늘어서 있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오사카 스미요시에 있는 이 주택의 사이트 주변은 건축 당시에는 목조 구옥들로 둘러쌓인 좁은 길에 자리잡고 있었다. 지금의 사진들에서는 그다지 구옥은 아닌것처럼 보이는데, 아마도 그간 주변에도 간간이 새로운 집들이 들어선 것으로 생각된다.















위의 사이트맵에서 볼 수 있듯이 대지의 형상은 전면부가 좁고 뒤로 긴 형태로 되어있다. 또한 집 옆고 뒤로는 각각 이웃과 접하고 있는 전형적인 row house의 형태를 띄고 있다. 


영국의 Row House를 묘사하는 단어로 deceptive라는 단어를 흔히 사용한다. '기만적인'이라는 뜻인데, 전면이 좁고 뒤로 길기 때문에 길가에서 보면 좁아보이지만, 실제로 집에 들어가 보면 생각보다 그다지 좁아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영국의 집들은 뒷쪽에 Back Yard를 두고 있는데, 스미요시 주택의 주변 집들은 뒷뜰이 없는것처럼 보인다.










스케치를 보면 오른쪽으로 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것이 보인다.  집을 지을 당시에 옆집이 목욕탕이었다고 한다.


완공 : 1976년

규모 : 지상 2층

대지면적 : 57.3㎡ (17.33평)

건축면적 :33.7㎡ (10.19평) - 건폐율 59%

연면적 : 64.7㎡ (19.57평) - 용적율 113%





안도다다오에게 일본 건축상을 수상하게 했던 '작품'이지만, 이에 대한 비판도 많았다고 한다. 이에 대한 안도 다다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어떠한 논란이었는지 짐작이 간다.


'집주인에게 번거로움을 강요한다는 점 말고도 건축가의 이기심에서 나온 집이라는 소리를 들어도 어쩔 수 없다. 그러나 기능을 생각하지 않고 예술작품처럼 자기 취향대로 만든 집이라는 비평에는 동의할 수 없다. 결코 이 집은 그 안에서 영위되는 생활을 무시하고 만든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일생생활이란 무엇인지, 가정집이란 무엇인지를 나 나름대로 철저히 생각하고 계산해 낸 건축이다.'


실제로 건축주에게 비슷한 설득을 했다고 한다. 즉, 불편함을 감수하라고 말이다. 실적이 필요했을 젊은 건축가가 건축주의 생각과 동떨어져 있을지도 모르는 컨셉을 제시한다는 것은 용기있는 일일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안도다다오 또한 바보가 아니었을 것이기에 그러한 설득이 먹힐만 하니까 그랬을 수도 있다. 


1976년 작품이며, 안도 다다오는 1941년생이라는 것을 감안했을 때, 우리나라 나이로 36살에 설계한 집이다. 나는 이 생각이 설익지 않았을까 하는 의심을 한다. 36살의 비교적 젊은이가 삶을 제시한다는 것이 주제를 넘어서는 일이라고 말이다.


반면 건축주는 비교적 만족하며 수십년째 살고 있다고 한다...불편을 감수하면서...




그러면 무엇이 불편하다는 것일까? 

우리나라에서 스미요시주택을 다루는 포스팅들이 꼽는 문제점은 주로 두가지이다.


1. 외부를 통과해야 실과 실을 오갈 수 있는 구조이다.

2. 덥고 춥다.


1번 문제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2번 문제 또한 충분히 짐작이 가능하다. 

내 생각에 안도 다다오가 '강요'했던 불편은 주로 1번의 문제와 관련되어 있지 않을까 한다. 그런데 2번 문제점에 대한 심각한 고민이 있었을까? 글쎄....


2번 문제에 대하여는 조금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이 문제는 사방이 막혀있고, 콘크리트라는 주재료가 밖으로 그대로 노출되어있는 집의 구조로 인해 발행하는 것이다. 즉 건축가의 스타일로 인해 발생하는 매우 구조적인 문제라는 것이다. 이에 대한 심도있는 글이 있어서 여기에 원문을 우선 올려놓는다. 변역은 추후에...



Azuma Row House by Tadao Ando | Designing Architecture to Purposefully Make People Feel uNCoMfoRTabLE


https://contrahabit.wordpress.com/2011/11/09/azuma-row-house-by-tadao-ando-designing-architecture-to-purposefully-make-people-feel-uncomfortable/



The Azuma Row House (Sumiyoshi, Osaka, Japan) was designed by Tadao Ando in 1976. Built in an old post WWII neighborhood of wooden row houses, his project replaced its predecessor with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urban context. Cast in concrete, Ando’s austere and functional design divides the site into three parts – two equally sized enclosed interior volumes flanking an open-air courtyard. Centralizing the courtyard makes it an integral part of circulation and the focus of everyday life. What makes this setup particularly unique is that there is no way to cross to either side of the house without passing through exterior and ultimately confronting nature. Despite the hardships that this may enforce on the inhabitants, Ando defends his design:


At the time [mid-1970s], I thought of residential design as the creation of a place where people can dwell as they themselves intend. If they feel cold, they can put on an additional layer of clothing. If they feel warm, they can discard extraneous clothing. What is important is the space be, not a device for environmental control, but something definite and responsive to human life… No matter how advanced society becomes, institutionally or technologically, a house in which nature can be sensed represents for me the ideal environment in which to live.


With subtle and careful presentation Ando forces occupants to experience the dynamic flows of nature every single day. Despite the advent of highly thermally controlled architecture, the environment’s energy flows are somehow an inherent experience in inhabiting the house. I’d like to explore how this seemingly anachronistic and modest design approach affects the comfort and lifestyle of its victims, oops I mean tenants  


Tadao Ando is actually one of my favorite architects, and is world renowned for his stunning manipulation of air, light, and water. This project, his first residential commission, explores issues we’ve discussed in class regarding heat transfer, air flow, and light.


Thermally Active Surfaces and flows: What kind of environment does Ando create?


The building envelope of the Azuma Row House is simple and uniform — a continuous façade with no apertures, except for one small skylight. Apart from its inward –facing glass walls and minimal wood finish, the majority of the envelope is cast concrete, which has a very high specific heat capacity (0.880 J/(gK)), and therefore capable of absorbing  a lot of heat energy. This trait affects the heating and cooling of the interior and courtyard in various ways


Courtyard

Constantly exposed to the sun, the concrete and stone slabs receive heat energy from the sun’s direct radiation, diffused sky radiation, and any rays reflected off of surrounding buildings. They cannot easily conduct or release this energy and stores it throughout the day, gradually increasing in temperature. The ground can retain a large amount of heat for hours, which can make standing in that space uncomfortable – think of asphalt on a summer day. Also since hot air molecules rise, the occupant space air temperature can become overheated and uncomfortable as well. This is a greater concern in the summer time when exposure and temperatures are high. Furthermore, by placing the exterior space at the center of the row house the building envelope’s surface area almost doubles, which can be a crucial matter for skin-loaded or envelope dominated structures. Expanding the threshold for hot or cool air to transfer across makes the thermal environment asymmetrical, less predictable, and uncomfortable.




The Interior


 In each room there are four surfaces of exposed concrete. Although the floors are covered with wood slats providing insulation between the foot and slab, there is still conduction of heat energy through the walls. Bearing in mind the house’s small scale, there is likely considerable contact with the building envelope which prompts measurable heat loss from the human body – comfortable during warm seasons, frustrating during cold.


The sixth surface of every room is a floor-to-ceiling plane of glass with a glass door. Although certain types of glass have relatively high heat capacities, the metal mullions that support the panes are highly conductive – not to mention that a building cannot be perfectly sealed. A significant temperature difference across this barrier will cause a convection current that will easily circulate warm air into a cooler courtyard, and vice versa, causing fluctuations in the room’s temperature.


In addition, without any apertures to penetrate, radiation waves reflect off of the house’s exterior facade or are absorbed by it. Unlike the courtyard, this heat exchange occurs on the side the occupants do not have contact with. Since the thick thermal mass absorbs all of the heat, the interior remains cool. Again, despite the benefit in the summer, this kind of passive radiant heating could be very useful during the winter.




Thermal Comfort


After reading Heating, Cooling, and Lighting by Lechner we discussed the body’s thermal response to any environment, or its relationship with the space’s temperature profile. Many of the thermally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zuma House are beneficial during one season, and a burden during another. However, some issues like convection across thermal surfaces can always work against your desired comfort zone. Ando includes many conductive and convective thermal surfaces in his construction and few radiant sources. The volatility of convection patterns make air flow, heat transfer, and therefore room temperature asymmetrical and unpredictable.






Natural Ventilation: How does Ando achieve reasonable comfort through passive design?


As a skin-load or envelope dominated structure – with climate dependent cooling requirements– passive solar heating is a reliable method to keep the structure reasonably comfortable because it is an efficient transfer of heat energy between the climate and envelope that requires no fluid medium like in convection. Part of what makes these structures so easily influenced by their envelopes, are their large surface area-to-volume ratio, which creates a large gateway for heat loss. It’s interesting to see what fluid dynamics principles, if any, Ando utilized to make the space more comfortable by modern standards. To start, there are no mechanical systems in the structure for heating or cooling.


Cross Ventilation


Again, the building envelope is a continuous and uniform surface. There aren’t proper inlets or outlets to let wind through the interior spaces, as there no apertures at all. Therefore, no cross ventilation can occur.


Stack Effect


However, high-speed winds redirected over the row house can create a region of lower temperature that draws out the warm air from the courtyard. It produces something similar to a stack effect. When air in the courtyard gains heat energy due to high air temperature or thermal radiation, its buoyancy will decrease, causing it  to rise up out of the courtyard. This is what prompts the convection of cool air from the interior to the exterior through the glass pane, as I mentioned above under Interior thermal flows. The rising warm air molecules leave a region of low pressure that draws the high pressure cool air into the void – as molecules always flow form groups of greater energy to groups of lower energy.






High Mass Cooling


The Azuma row house is a great example of Night ventilation of a thermal mass. The concrete slabs have a great capacity to hold heat that accumulated during the day and is gradually released a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ols in the evening. More specifically, at night, cool air circulates through the building and the heat in the thermal mass is released to the space above it, keeping it warm and renewing its own ability to re-absorb more energy the following day. This prevents sudden swings in hot and cold temperature.




Why not more natural ventilation?


There are several cons or obstacles that come about when utilizing certain types of natural ventilation, which is why Ando might have under-utilized these methods. Noise, pollutants, and harsh winds are a side effect of any kind of ventilation system that passes through a structure at occupant level, which — considering the scale of this project — was unavoidable.  Although I think that these system characteristics could in some way support Ando’s thesis regarding bringing the house’s inhabitants closer with nature, cross ventilation in addition to such a large open-air courtyard, would form a setting too abrasive for his clients, especially considering the urban conditions. Furthermore the penetrating sounds, smells, and contents of street’s cross breeze would also undermine his idea of the “inward looking” house.


In Conclusion: Would I have the courage to live here?


Is Tadao Ando successful in creating a thermally appropriate environment for humans. Well, that’s a difficult question to answer, as it can be interpreted from many of his works and from his own words that his intention was to make his occupants slightly uncomfortable. Ando has said that walls have often separated us from the outside world in a way that has “bordered on violent.” Through his design it seems he allows light and air to enter into the  daily lifestyle of humans in order to disrupt the stale inertia of the modernist lifestyle. As we have discussed in class, humans are historically and genetically outdoor animals, and that our bodies thrive considerably more when we expand our temporal zone of comfort. Ando does exactly that, challenging the widespread momentum towards thermally controlled environments in residential architecture that was simultaneously taking place in America during the 1970’s. I agree with the general principles 






Posted by 徐烏(Slow Crow)
:

Steve Jobs (1955~2011)




Apple II

스티브 잡스의 사후에 전기가 출간되었고, 난 그 책이 출간되자 마자 바로 구매를 해서 읽었다.

내 나이정도 되는 사람들은 이미 어릴적부터 그 이름을 익히 들어 알고 있었으리라. 혹여 이름을 몰랐더라도 그가 만드는 물건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APPLE II 컴퓨터. 나도 당시에 한 대 가지고 있었지만, 주로 로드러너라는 게임을 하는 데에만 사용했던 터라...평가는 생략하기로...




Defect

지금에 와서는 내용은 자세히 생각나지 않는다. 다만 인상적인 면 두가지가 생각난다. 그 첫째는 그가 전기작가(이름이 뭐였더라...찾아보고 보충해야지)에게 자기의 전기를 의뢰하면서 했던 약속이다. 처음 작가는 거절했지만 집요하게 요구하는 잡스에게 이를 수락하며 다짐 받았던 것은 "내용에 대한 불간섭"이었다. 작가는 수많은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잡스의 '위대함'을 주제로 삼지 않았다. 필연적으로 잡스에게 적대적이었던 사람들로부터의 박한 평가가 가득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책을 다 읽고 덮을때 쯤이면 그가 얼마나 위대한 인간이었던가를 '공감'할 수 밖에 없게 된다.




Minimalism

두번째 인상적인 것은 간지로 들어가 있는 그의 집 거실사진이었다. 아래의 사진이 그나마 그 사진과 비슷한 그림인데, 그 때 내가 느꼈던 느낌과는 조금 차이가 있기는 하다. 난 그 사진에서 불교의 '선'의 느낌을 강하게 받았었다. 



젋은 시절의 잡스부터 말년까지 그의 주위공간은 채움보다는 비움이 많아 보인다. 내가 말하는 비운다는 것은 정리한다는 의미가 아닌 소유하지 않는다는 뜻에 가깝다.



나는 위의 어수선한 방의 사진에서도 비움이 느껴진다. 그러니까... 뭐랄까... 삶 자체를 단순하게 만들려는 노력이 보인다고나 할까...아니면, 삶의 빼대가 드러나 있는 느낌이던지... 예를 들어, 쌓여 있는 저 책들은 '장식'과는 관계가 없어보인다. 그리고 그 책을 담고 있는 책장, 그 책장 맨 위에 놓인 비닐에 쌓여있는 무엇인가 등...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모양들인 것이다.


삶은 물론이거니와 그가 세상에 내놓았던 물건들만 보아도 얼마나 그가 Simplicity 또는 Minimalism에 집착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금이야 스마트폰이라는 것을 떠올릴 때 네모난 화면 위에 심플한 버튼 하나를 떠올리지만, 처음 아이폰이 나올 때만 해도 버튼이라는 존재를 없앤 것이 얼마나 혁신적이었는가(심지어는 쿼티자판이 유행하기도 했다). 그 조금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봐도 아이팟의 그 유명한 휠 디자인은 심플함의 극치였다. 그 전에 그가 손댔던 NEXT라는 회사의 컴퓨터 케이스 모서리 각도를 90도로 만들기 위해 얼마나 '쓸 데 없는' 노력을 했던가.


그래서 치장보다는 치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없애는 것이 항상 더 괴롭고 용기있는 작업인 것이다. 마치 사진을 '빼기의 예술'이라 부르는 것처럼. 분명 안도 다다오는 콘크리트를 노출시키며 엄청난 고민을 할 것이다. 한 번 실패하면 치장으로 만회할 수 없기에, 디자인 자체 뿐만 아니라 시공이나 시공자를 고르는 일 등, 더 오랜 프로세스동안 긴장을 늦출 수가 없는 것이다. 



Micro House / Minimal House




어느 여성지에 소개된 '협소주택' 관련 기사를 봤다. 역시나 빠지지 않는 수납공간 타령이 있었다. 이런 투의 기사 또는 설계에 대한 느낌은 마치 예전 어느 건축잡지에 실렸던 장대하고 찬란한 인테리어에서 느꼈던 역겨움과 그 감정선이 비슷하다.


내가 요즘 관심을 쏟는 분야인 협소주택은 단순히 경제적인 이유로 접근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 경제적인 이유같은 '수동적'인 이유에서 시작 되었거나, 또는 막연히 '마당이 있었으면...' 같은 '충동적' 동기에서 관심을 가졌더라도, 그것이 관심의 범위를 넘어설 순간에는 더욱 더 그러해야 할 것이다. 집을 지으려는 순간 그것은 '능동적'인 행위가 된다. 사진으로는 멋지겠지만 막상 살려고 입주를 하면 불편하기 그지 없을 수도 있다. 견디려면 삶의 패턴이 바뀌어야 하는 것이다.


조만간 한 번 찾아서 포스팅을 하겠지만, 안도 다다오가 초기에 설계한 스미요시주택의 경우에는 건축가가 단순한 삶을 강요한다. 불편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그는 당당하게 '불편을 감수하라'고 한다. 젊었을 때였으니까, 그때의 안도는 당당하고 용감했고 건방지기까지 했다. 또 하나의 극단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젊었으니까... 젊은이들은 이해할 수 없는 '극복할 수 없는' 불편함을 차마 깨닫지 못했던것이라 나는 생각한다. 과연 나이가 든 안도는 지금 그 때를 후회하지 않을까? 


내 집은 좁다. 하지만 곳곳에 어지럽고 위태하게 물건들이 쌓여있고, 쟁여있는 수많은 물건들은 기실 존재조차 잊혀진 전혀 쓸모 없는 것들이다. 버려야 하지만 '언젠가는 다시 쓰겠지' 또는 '아깝잖아'라며 쌓아놓다가 이사갈 때 마지못해 버리게 되는... 항상 반성하지만, 항상 고쳐지지가 않는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Galvanised Steel Panels

cover Irregularly Stacked Volumes

of Japanese Townhouse 

 

이번 주택은 그다지 협소하지는 않다.

 

 

 

 

Date : 2016.04

 
Type : Housing
Staff : Yuichi Yoshida, Satoru Ando
Location : Ishikawa, Japan

Site area(대지면적) : 117.65㎡(35.59평)

Building area(건축면적) : 69.88㎡(21.14평, 건폐율 약 59%)

Total floor area(연면적) : 190.41㎡(59.60평, 용적율 약 162%)

Structural systems : Steel + Reinforced-concrete
Scale : 3stories

 

 

유이치 요시다 건축설계사무소는 카나자와 변두리지역에 주변 주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형태의 주택을 완성하였다. 건물의 인테리어는 소박하고 건물의 층별 레이어는 불규칙적이다.

 

 Yuichi Yoshida & Associates has completed a house in the suburbs of the Japanese city of Kanazawa with pared-back interiors and an irregularly layered structure that challenges the area's housing typology.

 

 

 

 

 

 

도로에서 후퇴하여, 평범하지 않은 이 주택은 콘크리트베이스 위에 스틸패널로 덮인 두개의 층이 어긋나서 얹혀있는 형태를 이룬다. 건축가는 이시카와지역의 혹독한 기후에 견딜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 외장을 선택하였다. 이 강판은 시간이 지나며 빛이 바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Set back from the roadside, the unconventional house comprises two steel-clad volumes set askew on a concrete base. The architects chose galvanised steel cladding for it ability to withstand harsh climate conditions experienced in the Ishikawa Prefecture, while also gradually losing their shine over time.

 

 

 

 

 

 

 

"주변의 조망을 위해 우리는 대지보다 약간 작은 매스들로 앞뒤, 그리고 좌우로 약간씩 어긋나게 쌓았습니다"라고 건축가는 설명한다.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we stacked volumes that wer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te, while shifting them back and forth and to the left and right," explained the architects.

 

 

 

 

 

 

 

"아연강판은 어어컨장비에서부터 토목 및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처음에는 주변 빛을 반사하지만 아연이 부식되며 흐린 회색을 띄게 됩니다."

 

 "The exterior cladding is used in all fields, from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 civil engineering infrastructure and automobiles," they continued. "Initially it has a gloss that reflects the surroundings, but zinc gradually dissolves and becomes a dull grey."

 

 

 

 

 

 

 

Shinbohon House K는 두개의 일광욕실과 나란히 세개의 침실과 오픈된 주방 및 거실을 두었으며, 서비스공간과 다용도실을 집 뒷쪽으로 묶어놓았다. 삐뚤빼뚤한 외관과는 대조적으로 각 실은 밝고 희게 마감했으며, 가구와 마감재료로 구분을 지어놓았다.

 

Alongside two sun rooms, Shinbohon House K comprises three bedrooms and an open-plan kitchen and living area, while service spaces including a contemporary bathroom and utility room are grouped at the rear of the house. In contrast to its haphazard exterior, each of these rooms features a flush, bright white finish, differentiated by the choice of furniture and materials.

 

 

 

 

 

 

 

집안 전체적으로 단색의 가구류들, 대리석과 검은색 목재바닥들 속에서 화분 또는 몇 개의 그림들의 색이 강조되도록 하였다. 집의 전면의 투명도가 각 층마다 증가하며 외부로의 시선은 공간구분을 돕는다.

 

Teamed with monochrome cabinetry, and marble and black timber flooring, plants and a few art works introduce the only splashes of colour throughout the house. With the transparency of the building's facade increasing with each floor, outward views also assist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spaces.

 

 

 

 

 

 

 

 

 

1층은 도로변의 주차장과 완벽히 분리시켜서, 겨울철 눈으로부터의 보호와 주인침실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1층 방의 충분한 빛과 환기를 위해 2층을 옆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천정으로부터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The ground floor is entirely closed off from the outside, excluding a built-in garage at the roadside, which is design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winter snow and maintain privacy for the master bedroom. However, to ensure there is sufficient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in the ground floor rooms, a skylight has been incorporated where the first floor has been shifted sideways from the foundations.

 

 

 

 

 

 

 

 

 

 

이웃의 시선으로부터 어긋나도록 1층 창을 배치하였으며, 그것도 뷰가 좋은 지점에만 설치하였다. 1층의 특징과는 완벽히 대조적으로, 2층은 거실에 자연광을 충분히 받아들이며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외부로의 다양한 조망을 제공한다.

 

Windows are introduced on the first floor, out of sight from neighbouring houses, and only where there is an interesting view. In complete contrast to the ground floor, the second floor features several outward views, creating a sense of openness while flooding the open-plan living room with natural light.

 

 

 

 

 

 

 

 

2층에는 반쯤 외부로 노출된 계단실이 여기를 통해 적당한 크기의 지붕테라스로 올라갈 수 있다. 테라스는 집주인을 위한 외부공간으로써, 빼곡히 들어선 주변 집들 대신 이웃 집들의 지붕층 위로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From the second floor, there is a semi-outdoor staircase that leads to a generously sized roof terrace. The terrace forms an outside space for the homeowner that offers a private escape from the densely packed neighbourhood, offering views out over the roofs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추운 겨울동안 지붕에 올라가기가 어려울 때에도, 거주자가 1층과 2층의 일광욕실에서 낮의 해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However when the roof is inaccessible during harsh winter, the occupants are still able to enjoy daylight and privacy by retiring to the sun rooms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

 

 

 

 

 

 

 

Plans & Elevation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Holiday Home by Masato Sekiya

Cantilevers Over a Rover Bank in Nara Prefecture

 

집이 좁긴 하지만 내가 소개하는 통상의 협소주택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일단 협소주택의 목적이 도시지역의 좁은 땅을 활용하여 쓸만한 집을 짓는 것인데, 이 집은 주말 별장으로 활용되는 점에서 보통의 협소주택과는 그 쓰임이 다르다.

하지만, 내가 특히 이 집에 끌리는 이유는 다른 글에서도 언급했던 것과 같이 순전히 개인적인 나의 로망 때문이다.

 

'벼랑 위의 전망 끝내주는 작은 집'

 

 

 

 

 해발 600m에 있는 텐카와 마을에 위치한 대지는 오미네산맥에 둘러싸여있다.

의사부부를 위한 주말주택으로 디자인된 이 집은 강의 벼랑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이들 부부가 '아유'라는 일종의 플라잉피싱을 즐기는 장소이기도 하다. 건축가가 '자연 위에 떠있는 공간'아라고 묘사했듯, 건물은 텐강 위 17m 높이에 위치하며 숲의 멋진 풍경을 제공한다.

 

Located in Tenkawa village, 600 metres above sea level, the site is surrounded by the Omine mountain range.

The house, which was designed as a holiday villa for a doctor and his wife, protrude out from the cliff edge above a river – a spot where the couple enjoy practicing a type of fly fishing called ayu. Described by the architects as "a space floating in nature", the building's lofty perch provides it with spectacular views across the forest and the Ten River, which is 17 metres below.

 

 

 

 

 

 

 

 

 

 

 "계획 초기 건축주가 단순한 낚시를 위한 집을 제안했을 때부터 저는 어려움을 알고 파악했습니다." 라고 도쿄에서 일하고 있는 건축가 마사토 세키야씨는 설명했다. 대지의 많은 부분이 텐강 위로 17m나 오르는 급경사였고, 평평한 부분은 6평방미터밖에 안되었지요. 그래서 차 2대를 세울 주차장을 설치하고 나면 남는 공간이 아예 없었어요"

 

"Even in the initial stage of planning, when the owner suggested that he would be satisfied with a simple fishing cabin, I perceived difficulties," explained Tokyo-based architect Masato Sekiya. "A large percentage of the site was a steep slope inclining 17 metres toward the Ten River, and the flat area was only six metres square, so once parking for two cars was established, there was no room for a building."

 

 

 

 

 

 급경사의 강둑이 붕괴되거나 또는 물이 범람할 위험도 있었기에 물가에 건물을 지지할 높은 기둥을 설치하자는 제안은 위험해보였다. 콘크리트 기둥으로 지지되는 튜브형 콘크리트구조는물이 암반 위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덩어리를 평형추로 설치했다.

 

 

Faced with the possibility that the sharply inclined riverbank could collapse or the water could rise, the suggestion of setting a tall pillar on the shore to support the residence was deemed too dangerous.The building's tubula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on flat bedrock, with a concrete pillar as a fulcrum, and a mass of concrete as a counterweight.

 

 

 

 

 

 검토과정에서 도로옆으로 1층에는 주차장, 2층에 거주공간을 두는 2층 구조물이 검토되기도 했지만 세키야의 결론은 이 높은 건물이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The practice also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two-floor structure beside the road, with parking on the first floor and a residence on the second, however, Sekiya concluded that the tall building would ruin the scenery.

 

 

 

 

 

 "저의 해결책은 거의 암반까지 파내려가서 건물을 앉히고 그것을 강 위 공중으로 확장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세키야는 이 프로젝트를 Cliff House로 이름지었다. 

"결과적으로 저희는 너비 5.2m, 높이 2.5m의 튜브형 콘크리트로 6m의 캔틸레버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었습니다"

 

 "My solution was to dig down nearly to the bedrock and sink the building into the ground, then extend it out into the air over the river," said Sekiya, who named the project Cliff House.

"As a result, we created a six-metre cantilever with a tubular reinforced concrete frame [measuring] 5.2 by 2.5 meters, and we were able to secure sufficient internal space."

 

 

 

 

 

 

 

 

 

 

 

 

 평면구성으로 한쪽에는 여분의 침실과 부엌, 세탁실 그리고 욕실을 두었으며 반대쪽에는 부부침실과 거실 그리고 데크를 두었다. 돌출된 쪽의 건물 끝은 오픈되어 있어서 강건너 풍경을 액자처럼 보여준다. 

 

 Inside, the plan is partitioned lengthways with the spare bedroom, kitchen, laundry and bathroom located on one side, and the master bedroom, living room and deck area on the other. The end of the building that extends outwards is open, framing views across the river.

 

 

 

 

 

 

 

 

 

 

 

세키야의 레이아웃에 대한 설명은 이러하다. "빛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데크이고, 그 다음은 거실과 식당, 마지막이 침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순서로 평면배치를 했습니다. 각각의 공간은 완전히 접힐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분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깥의 풍경이 침실까지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했습니다."

 

 "The area most needing light is the deck area, the next is the living/dining room and last is the bedroom, so they are arranged in this order," said Sekiya of the layout.

"Each area is separated by sliding doors that can be folded back completely, and by opening the sliding doors, the view of the green landscape flows through to the bedroom."

 

 

 

 

 

 

 

 

 

 주변의 경관에 미칠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은 도로레벨의 잔디마당으로 구성했다.

 

 Seeking to make minimal impact on its surroundings, the sunken house's roof becomes a lawn, which is all that can be seen from the road.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House in Minami-Tanba

by FujiwaraMuro Architects

 

소재의 특이성때문에 소개해 본다.

전면부에 스테인레스 커튼을 설치했다.

국내에서는 이 재료를 취급하는 곳이 검색되지 않는다.  

 

 

 

 

  • Site area

    63.45 m2

 

 

가로 3.75m x 세로 16.92m의 좁고 긴 대지에 위치한 기존 Row House(테라스하우스)를 허물고 새로운 주택들 짓게 되었다. 디자인은 이러한 대지의 독특한 모양을 적용하여 긴 시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스킵플로어형식의 바닥은 지하층과 3개의 지상층에서 오버랩되어 구획되며 여러 방향에서의 시각적인 개방을 제공한다. 지하층은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1층은 출입구, 2층은 거실과 식당 및 부엌을 연결하고 있다. 3층은 침실과 욕실로 사용되며, 그 위로는 루프탑 공간이 위치한다. 

 

 From the architect. The existing row house on this long, narrow property measuring 3.75 m across and 16.92 m deep was torn down to make way for a new residence. The design adapts to the distinctive site by playing up deep lines of sight. Segmented split-level floors overlap with one basement and three above-ground floors, providing visual outlets in a number of directions. The basement contains a multi-purpose space, the first floor an entryway, the second floor a combined living-dining-kitchen area and desk space, the third floor bedrooms and bathrooms, and above that there is a rooftop area.  

 

 

 

 

 

 

 

 

 

분산된 계단들은 분리된 레벨의 바닥들을 연결하며 수직적인 순환루트를 만들고, 집 안에서 단순히 '움직이는'것이 아닌 천천히 거닐 수 있는 인상적인 형태를 제공한다. 대지의 위치가 외부 경관을 조망하기에는 좋지 않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내부를 조망하는 방향으로 인테리어를 계획하게 되었다. 거주자는 집안의 다양한 장소에서 서서 또는 앉아서 이러한 '내부의 경관'을 즐길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곳이 아닌 '시간에 대하여 생각하는' 장소를 디자인하려는 의도였다.

 

 Scattered staircases connecting the split-level floors create multiple up-down circulation routes, giving form to an image of wandering through the house rather than moving monotonously within it. The nature of the site is ill-suited to gazing at exterior views, so we approached the interior as a landscape of its own. Residents are able to stand or sit at various spots inside the house and enjoy this interior landscape. The idea was not simply to design a place for spending time but rather to think about time.  

 

 

 

외부의 전면부에는 스텐레스메쉬로 된 커튼을 매달았다. 이 커튼은 엿보는 시선을 돌리기 위해 닫아놓을 수도 있으며, 개방감을 위하여 열어놓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흔히 스텐레스커튼이라 하면 단단한 금속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바람에 흔들리며 놀랍도록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전면은 낮동안에는 빛을 통과시키면서도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하며, 밤에는 내부의 빛으로 인해 빛나는 베일로 변하기도 한다.

 

Outside, a stainless-steel chain curtain hangs across the façade. It can be closed to gently deflects prying eyes or opened to provide a feeling of expansiveness. While people tend to associate stainless steel curtains with the hardness of metal, when used on a building-sized scale, they flutter in the wind and convey a surprisingly soft impression. The result is a façade that lets in light while maintaining privacy during the day, and at night turns into a glittering veil illuminated by the interior lighting.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Vista House by APOLLO Architects & Associates

 

 

 

위치

 Nishidai Itabashi ward Tokyo

완공

 2011.10

 대지면적

 85.06㎡ (25.73평)

건축면적

 54.86㎡ (16.60평)

 1F 바닥면적

 42.02㎡

 2F 바닥면적

 47.41㎡

 3F 바닥면적

 22.35㎡

 연면적

 111.78㎡ (33.81평)

 구조

 Timber structure

 규모

 3F

구분

 Private housing

 가족구성

 A couple (30s) + a child

 구조엔지니어

 Masaki Structure Laboratory

 

 Kenta Masaki

설비엔지니어

 Shimada Architects

 

 Zenei Shimada

 시공

 Maekawa Construction

 사진

 Masao Nishikawa

 

 

한 번은 일본과 한국의 건축법에 대하여 비교자료를 찾아서 올려보려 한다.

1990년대부터 생겨나기 시작한 일본의 틈새주택들은 말 그대로 "틈새"에 들어가 있는 경우도 상당수 보인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옆집과의 경계선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야 하고, 도로로부터의 이격거리, 사선제한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일본도 분명 건축법상의 제한이 있겠지만, 사례들을 볼 때, 차이를 보이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위의 개요에서 보이듯, 이 집의 대지면적은 약 26평에 건축면적은 16평, 연면적은 34평정도이다.

대략 분석을 해보면, 건폐율 61%, 용적률은 130% 정도로 대략 우리나라의 면적제한 범위 내에 얼추 들어온다.

또한 대지는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볼 때, 언덕이 많은 서울에서 적당한 규모의 자신의 집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이 참고할 점이 있을것 같다.

 

 

우선 건축사무소 홈페이지의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집주인은 30대로 남편은 광고회사에 다니고 있으며 모터사이클을 좋아한다. 그리고 아내는 음식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작은 언덕 위에 위치한 작은 땅을 구매했다. 이 프로젝트는 새로 태어난 아기와 이들 부부가 살 집을 짓는 것이었다.

언덕위에서 북쪽으로 내려다보는 풍경이 근사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서 북쪽면에는 넓은 파노라마 창을 설치했다. 1층에는 침실과 욕실이 위치해 있으며, 2층에는 사면에 도서관과 같은 책장을 설치했다. 그리고 3층에는 아이의 방과 전망을 위한 테라스를 배치했다. 입구에는 주인이 좋아하는 두카티 바이크를 주차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아래쪽에서 올려다보면 흰 매스가 공중에 떠있는듯한 인상을 보여준다.

언덕 위에 있는 대지는 내 로망중 하나이다. 경사가 급한 산지에 위치한 대지, 그래서 오히려 절벽같아 보이는 대지는 건축공사의 난이를 떠나서 나의 큰 로망이다. 지붕으로는 윗쪽의 도로에서 진입할 수 있고, 1층은 아래쪽 도로에서 진입할 수 있는 절묘한 위치에 자리잡은 대지라면 더 좋겠다.

이런 내 로망에 비추어 본다면 위의 대지는 그 조건에 상당히 근접하다. 다만, 아랫면 바로 앞에 옹벽구조물과 축대가 있어서 지하공간으로부터의 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여건이 아쉽다.

좁은 짐에서의 흰색 내장은 일종의 진리로 받아들여지는것 같다.

공간이 좁다보니 조금이라도 넓어보여야 할테고, 그래서 넓어보이려는 갖가지 종류의 트릭들이 동원되고 있는 것을 자주 본다. 밝은 색, 특히 흰색을 메인 컬러로하여 곳곳에 목재로 포인트를 주고 계단 참을 오픈하여 막힌듯한 뷰를 오픈해 준다든지 하는 각종의 장치들이, 이제는 하도 많아서 클리쉐가 된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도 한때는 새로운 시도들이었을 것이다.

뭐 넓어보이기 위한 시도들이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내가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위의 사진에 있는 바닥 단차이다.

난 집을 기계라고 주장했던 근대의 건축가들의 극단적 주장에 어느 정도는 동의한다. 공간들은 공기처럼 소리소문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걸으며 발끝이 채이지는 않을까, 이마가 부딪이지는 않을까 하는 것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은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내가 내 집을 지을때나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생각들 중 하나이다.

위의 바닥 단차는 그 의도와 용도, 또는 그래야만 하는 어떠한 사정도 추측이 안된다. 뭘까...

 

 

 

 

욕조 위 천정에 달려있는 저 네모난 것은 무엇일까? 조명? 스피커였으면 좋겠다.

멋진 건축사진의 필수, 야간에 불켜놓고 찍은 사진을 마지막으로 올린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 협소주택

4X4 House by Ando Tadao

 

 

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는 일본의 대표건축가중 한사람이라는 표현보다는 그냥 [일본의 대표건축가]라고 부르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울, 넘사벽의 명성을 가진 사람이다.

정규교육을 받지 않은 건축가, 복싱선수 이력이 있는 건축가 등 서점에 위인전도 나와있을만큼 명성이 자자하다.

젊은시절 그 유명한 르 코르뷔제를 만나러 당시만해도 어렵다는 해외여행을 해가며 찾아갔지만 그가 도착하기 몇일 전에 코르뷔제는 세상을 떠나게 되는 바람에 끝내 만나지를 못했다는 일화 또한 유명하다.

 

 

 

 

 

Built in
2003
Land Area
117.19 m2
Floor Area
22.56 m2
Location
Tarumi-ku, Kobe, Hyogo, Japan

 

 원래 프로젝트는 어느 잡지사의 콘테스트로 시작되어 한 동이 먼저 들어서게 된다. 그 후 또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나머지 한 동이 들어서게 된다. 아마도 안도는 본래 두 동으로 컨셉을 잡았던 것 같다.

 

 

 

 

 

4x4라는 이름은 한 층의 바닥면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건물 바닥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약 4m이다.

두 건물은 건축주의 요청에 의하여 몇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첫번째로 왼쪽의 건물은 계단으로만 오르내리게 되어있고 오른쪽의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재료인데, 왼쪽 건물은 콘크리트만을 사용하였고, 오른쪽 건물에는 나무도 같이 사용되었다.

 

 

 

 

노출콘크리트

 

안도다다오의 Signature인 노출콘크리트가 역시 사용되었다.

"노출콘크리트로 만들면 자재비를 아낄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품질이 정교하기 위해서는 외장마감을 하는 것 보다 오히려 더 많은 돈이 든다.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형틀을 떼어낸 상태로 마감이 되는 것인데, 실력 없는 업체를 만나면 폼을 테어내고 견출하고 미장까지 해야 할지도 모른다. 비용은 비용대로, 품질은 품질대로, 건물은 누더기가 된다.

 

 

 

 

고베의 아사히해협과 대교를 바라보며 서있는 집의 맨 위층에서 바라본 풍경은 그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 이곳은 주방과 식당으로 사용된다. 각 층별 용도를 보면, 지하는 창고로, 1층은 입구, 2층은 침실, 3층은 서재, 그리고 4층이 위와 같이 사용되고 있다.

 

 

 

 

 

 

 

살기는 어떨까?

 

 

난 항상 이 생각을 한다.

멋있지만 살기에 불편하다면, 집은 아니다.

근대 건축가들의 그 유명한 집들도 실제로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다.

단순히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불편하기 때문에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나에게는 항상 바깥보다는 그 내부가 더 중요하다. 또한 밖의 풍경보다 집 안의 아늑함이 훨씬 중요하다. 내 경험상, 밖은 좋은 경치는 집을 구할때 말고는 본 기억이 없다.

 

그래서, 집은 비어있을 때보다 살림을 위한 물건들이 들어차 있을 때가 더 진실하다.

 

 

 

 

위에서처럼, 살기 위한 각종의 물건들이 들어차 있는 것이 본모습이고, 본래의 효용인 것이다.

하나 더하자면, 집은 그 자체의 모양보다는 사람과 어울려 있을 때에 그 진가가 나온다.

 

 

 

 

우리는 집을 모시고 살지 않는다. 집'에' 사는것이다. 대부분은 집 안에서, 가끔은 주위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고, 음식을 먹으며 산다. 그것이 '사람과 생활용품이 들어차있는 집'의 모습이 더욱 궁금하고 소중한 이유이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

Kyosho jutaku: Living large in small spaces

March 29, 2009 / Special Report / Tokyo Reporter

 

 

 

 

 

 

도쿄의 어느 상쾌한 아침, 신주쿠 파크타워 41층 라운지로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간다. 그리고 후지산 방향을 본다. 그 풍경은 그 거대함과 흉물스러움에 있어서 세상 어느 곳과도 비교할 수 없는, 빽빽한 콘크리트덩어리들과 도로들의 늪지대이다. 거대한 아파트들과 벽돌 같은 주택들이 이러한 광경에 섞여있고, 단조로운 콘크리트 전면들은 마치 병원이나 감옥과 닮아있다.

하지만 준 이시카와 같은 도쿄의 건축가들은 이러한 광경에 말 그대로 또는 비유적 표현으로 조금씩 색채를 더하고 있다. 과거에 공업이나 상업용으로 쓰였을 작은 땅들은 독특한 주택구조의 장소가 되었다. 이시카와는 목조 전문가이다. 나무는 그에게 원룸형 아치형 지붕의 좁은 건물 같은 그만의 특징적인 스타일을 구현할 기회를 제공한다.

버블이 꺼지며 땅주인들은 더 이상 업무용으로 효용가치가 없고 법률적 제제가 많은 땅들을 팔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은 작은 필지로 나누는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이것이 10평정도의 작은 땅 위에 지어지는 협소주택(또는 Micro Home)이 존재하게 된 주된 이유 중 하나라고 그는 말한다. “그래서, 이 트렌드는 디자인이 아닌 경제적 이유로 발생하게 되었지요. 하지만 건축가 입장에서는 사이트의 조건과 관계없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것이 그 임무입니다.” 비록 아직은 일본 주택산업의 작은 부분만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공간활용과 톡특한 외관을 강조하는 주택들은 최근 자기만의 대도시생활을 위한 트렌디한 해결책이 되고 있다.

 

 

Few Rules

 

디자인에 제약이 없다. 또한 그것이 매력의 일부이기도 하다. 외관은 광범위한 곡선과 바닥에서 꼭대기까지 물결모양을 띄기도 한다. 벽은 마치 배처럼 바닥과 90도 이상을 이루기도 한다. 지붕은 평평하거나 대칭을 이룬 박공일 필요도 없다.

내부로 가면, 계단은 나선형으로 올라가기도 하고 급경사를 이루기도 한다. 계단 바닥은 방천정의 일부가 되기도 한다. 많은 디자인들이 각층 바닥을 넓은 통로로 구현하고 있는 것을 생각할 때, Railing은 거의 필수이다. “이런 집들은 독특함을 추구하는 젊은 사람들에게 어필하고 있습니다.” 라고 도쿄의 부동산전문가인 미에 다케우치씨는 말한다. 이런 집들은 각각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특별한 디자인들 가지고 있으며, 자녀가 없는 부부에게 특히 인기가 좋습니다.”

좁은 공간 때문에 한 층 또는 심지어는 두 층 전체가 부엌이나 방 등 하나의 기능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사진에서 이러한 평면은 신기해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모든 것은 당신의 상상력에 달려있습니다

.” 라고 Apollo Architcts & Associates의 건축가인 사토시 구로사키는 말한다. “예를 들어, 벽장에 담요만 두면 부엌을 방으로 쓸 수도 있어요. 일본사람들에게는 이런 활용이 낯설지 않습니다.”

건축자재의 형태도 변했다. 앞에서 언급한 나무 외에도, 구로사키는 지진이나 화재등에 강하고 방음성능이 좋은 콘크리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 자재 또한 요즘의 구매자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다.

구로사키는 외장과 내장 모두에서 콘크리트는 현대 도시문화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표현을 가능하게 한다고 말한다. 그는 또한 극도로 좁은 상황에서 경량스틸구조를 사용하기도 한다.

 

Tadado Ando

유명한 두 개의 협소주택 미학에 관한 예가 교토의 아사히해협대교를 바라보며 나란히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로 세계적인 명성을 쌓은 안도다다오는 이 한 쌍의 3층주택을 디자인했다. 이 중 하나는 물론 콘크리트 구조이며, 다른 하나는 목구조이다. 아사히해협의 멋진 풍경을 제공하는 각각의 꼭대기층은 두 면이 아래의 도로위로 1m가량 돌출되어 메인 구조에서 벗어나있다.

공간의 낭비는 없다. 협소주택의 디자인에서 조명들은 바닥에 고정되지 않고 궤도나 한 곳에 매달려있다. 옷장은(옷장의 공간이 별로 없다) 코너에 마련되어있다.

가끔 완성된 집은 너무 좁아서 마치 책장에 꽂힌 책같이 보일 때도 있다. Layer House에서는 건축가 히로키 오타니는 고베에 있는 그의 사각형집 네 개의 벽을 5cm 간격의 세로로 얇은 콘크리트 선구조로 만들고 코너에서는 이것들이 겹치도록 했다. 연면적이 겨우 11평인 기둥이 없는 3층 집은 이 5cm의 간격을 좌우 3m인 바닥을 고정하는데 사용하고 있다. 나무널판으로 만들어진 내부계단과 선반들은 두개의 콘크리트 선구조에서 돌출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빡빡한 숙소들에서는 주변의 빛이 매우 중요하다. 오타니의 집에서 전면과 후면은 유리판을 사용하여 햇빛이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시카와는 그의 디자인에서 윗층의 바닥에 다중창을 자주 사용하여 거실과 같은 가장 큰 오픈공간을 둔다. 고베에 있는 안도의 작품에서는 3층의 4면중 2면이 유리로 구성되어 있다.

 

 

Shaped like a coffin

 

비록 이런 집들은 이웃집들과 불과 0.5m가 떨어져 있지만 도쿄처럼 주차에 한달에 수백달러가 드는 문제 등은 해결이 불가능 한 것은 아니다. 어떠한 협소주택 디자인은 켄틸레버 구조를 이용하여 아래층보다 위층의 바닥면적이 넓은 자 모양이 되기도 한다. 그렇게 하여 아래의 공간을 추차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좁은 공간을 만드는 것은 일본 주택산업에서 특별한 것이 아니다. 수십년간 호텔업계는 마치 관처럼 생긴 캡슐호텔을 이용하여 많은 투숙객을 유치하기도 했다. 마치 벌집처럼 생긴 이런 호텔의 기원은 일반적으로 키쇼 쿠로가와(Kisho Kurokawa)라는 건축가가 디자인하여 1972년 도쿄 긴자에 세워진 14층짜리 콘크리트 큐브 적층구조인 Nakagin Capsule Tower에서 찾는다.

이런 작은 집들이 결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어색한 각도와 바싹 붙은 이웃집들로 인해 창문을 닦는 등의 일상적인 일들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또한 콘크리트와 유리로 만들어진 디자인들로 겨울에 난방효율이 나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벗어나는 것은 비용이다. 다른 형태의 집들과 비교할 때, 특히 이미 땅을 소유하고 있을 때에는 비용 면에서 꽤나 매력적이다.

부동산컨설턴트인 다케우치씨는 말한다. “ 비교적 협소주택의 가격은 신축공동주택과 신축단독주택의 중간쯤입니다. 하지만 만일 땅을 소유하고 있다면, 이 방법은 확실히 새 집을 사는 것 보다 저렵합니다.”

 

 

 

Rental Market

다케우치씨의 지적에 따르면, 디자인이 건축 당시의 원주인의 취향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집을 파는 일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한다. 그래서 임대가 최선책일 수도 있다.

건축가 구로사키씨의 분석에 따르면, 협소주택은 과거 에도시대(1603-1868) 민가(목조 농가)로 특징지어지는 일본 건축의 진화과정 중 한 부분이기 때문에, 과거 소규모 사무실이나 상점들이 생겨났던 것처럼 협소주택 또한 그 범위를 계속 넓혀갈 것이라고 한다. “뉴욕이나 파리에서도 볼 수 있듯이, 도쿄에도 다용도의  4-5층 규모의 건물 수요 때문에 협소주택 컨셉이 이러한 건물들에 차용될 것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요소는 현실화될 수 있는 처음의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입니다.”

 

 

 - 원문 -

TOKYO (TR) – On one of Tokyo’s crisper mornings, ride the elevator up to the lounge on the 41st floor of the Shinjuku Park Tower in Shinjuku and gaze in the direction of Mt. Fuji. The view will be of a nearly uninterrupted blanket of concrete and infrastructural morass that is likely unmatched anywhere in the world for its enormity and unsightliness. Blending to fill much of this scene are massive apartment buildings and smaller, block-like “mansions,” their bland concrete facades and uninspired designs resembling hospitals or penitentiaries.

Architects like Tokyo-based Jun Ishikawa, however, are in the process of adding small bits of color to this picture – both literally and figuratively. Small slivers of land that in days past may have been used for an industrial or commercial purpose are now the location of unique housing structures. Ishikawa specializes in mokuzo (wood) structures. Wood affords him the opportunity to implement his signature style: narrow buildings with arched roofs that resemble a one-room schoolhouse or church.

“Once the bubble period ended, land owners thought that the easiest way to sell some properties that were no longer suitable for a business or had other legal restrictions on them was by subdividing them into smaller sections,” the architect says of one of the primary reasons for the existence of the kyosho jutaku, or micro home, which might occupy a plot whose area is only 30 square meters. “So this trend is not driven by design; it is economics. But from an architect’s point of view, it is his job to satisfy the customer’s needs regardless of the site conditions.”

Though still comprising a tiny fraction of Japan’s housing industry, these multi-storied domiciles, emphasizing utility of space and a distinctive look, have in recent years become the trendy solution for a select few looking to get a taste of big-city living.

Few rules

Designs adhere to few rules, which is part of the appeal. Exteriors can include sweeping curves and undulations from top to bottom. Walls can be tipped to meet floors at angles greater than 90 degrees, mimicking the slope of a ship’s hull. Roofs are not necessarily flat or even pitched at angles that result in symmetry.

Inside, staircases spiral upward or are inclined at steep grades, whose bottom can be part of the ceiling for the room below. Railings are almost a necessity given that many designs result in each floor essentially being a wide catwalk.

“These houses appeal to young people looking for something unique,” explains Mie Takeuchi, a real estate advisor in Tokyo at CBX-Japan. “They have special designs that cater to individual tastes and lifestyles, and they are especially popular for couples without kids.”

Because of the narrow spaces, entire floors might employ one function (i.e. kitchen, bedroom, etc.) and perhaps even two. In photos, such a layout might appear quaint, but from an application standpoint, this can make life somewhat challenging.

“It all depends on your imagination,” says architect Satoshi Kurosaki of Apollo Architects & Associates. “For example, your kitchen can become your bedroom if you store the futon in a closet. For Japanese people, this sort of utilization is not unusual.”

The type of construction materials is varied.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wood, Kurosaki uses reinforced concrete because of its positive performance in times of earthquakes and fires and due to its soundproof qualities. It is also a very popular choice with today’s buyers.

“For both interiors and exteriors, concrete allows me to freely express forms in ways that today’s urban culture demands,” explains the architect, who also uses light-gauge steel for structures being erected in extremely tight situations.

Tadao Ando

Two of the more famous examples of the kyosho jutaku aesthetic reside side-by-side in Kobe, overlooking the Akashi Kaikyo bridge. Tadao Ando, who has made an international name for himself with various adventures in concrete structures, designed the pair of three-story homes, in which one is (of course) concrete and the other wood. Each top floor, which provides a stunning view of the Akashi Strait, is a separate block that has been offset by about a meter from the main structure such that two of its edges hang over the pavement below.

Space is not wasted. In kyosho jutaku designs, interior lights rarely rest on the floor and instead are hung from tracks or single mounts; clothing racks (closet space is rare) are found tucked into corners.

Sometimes the finished products are so narrow that they resemble books on a shelf. In the Layer House, architect Hiroaki Ohtani designed the four walls of his rectangular home, also in Kobe, to be of thin, vertically stacked strips of concrete spaced five centimeters apart and overlapped at the corners. The three-level, column-less structure, which only offers 33 square meters of floor space, utilizes the 5-centimeter gaps to wedge the floor boards between the three-meter lateral space that spans from left wall to right. Interior stairs and shelving, both of which are wood planks, jut laterally from between two concrete strips.

The tight quarters of these structures, too, make ambient light very important. In Ohtani’s home, the front and back are covered by sheets of glass, which allow sunlight to pass between the gaps in the concrete and fill the space. In the designs of architect Ishikawa, he often includes multiple windows in the upper floors, which is typically where the largest open-spaced rooms (such as living rooms) are located. For Ando’s creations in Kobe, two of the four walls on the third floor of both structures are composed of glass.

Shaped like a coffin

Even though these homes are often only a half-meter from their neighbors, perks like parking, which for a single slot can cost a few hundred dollars a month in cities like Tokyo, are not out of the question. Some kyosho jutaku designs will use a cantilever system that will allow the first floor to be much smaller in area than upper floors, resulting in an upside down “L” shape. A space for that sedan is then possible just below the overhang and outside the front door.

Making the most of a small space is not necessarily unique to Japan’s housing business. For decades, the hotel industry has lodged overnight guests in capsules, which are small cubicles shaped like a coffin. The origins for these hotels, whose rooms are oriented almost like a honeycomb, are generally traced to architect Kisho Kurokawa’s stacked concrete cubes that make up the 14-floor Nakagin Capsule Tower, completed in 1972 near Tokyo’s Ginza district.

These mini homes are not without their drawbacks. Awkward angles and nearby neighbors can make seemingly mundane jobs, such as the washing of a window, quite challenging. As well, designs emphasizing concrete and glass are not conducive to energy efficiency in winter.

Offsetting these issues is the cost, which is fairly attractive when compared to other forms of housing, especially if land ownership is already secured.

“In comparison,” says real estate advisor Takeuchi, “the prices of a kyosho jutaku will probably be between that of a new mansion and a new ready-made house. However, if you already own the land, this method will definitely be cheaper than buying a new mansion.”

Rental market

Down the line, the drawbacks — and the fact that the original design was likely highly personal to the initial owner — may make resale of these properties somewhat difficult, Takeuchi adds, saying that the rental market might be the best option.

Since architect Kurosaki sees the kyosho jutaku as a part of an evolution in Japanese construction, which was characterized in the Edo Period (1603-1868) by the minka, or wood farmhouse, he believes that these micro homes will continue to expand in scope, much like the progress that in the past gave birth to small offices and small shops.

“Because of the demand in Tokyo for multi-use, four- to five-floor complexes, like those found in New York and Paris,” he says, “uniting the kyosho jutaku concept into these types of structures will be the next step. But the important element will be to first formulate an idea that can become a reality.”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 협소주택

 

Cell Brick by Artelier Tekuto

 

 

 

 

직업 디자이너인 건축주와 2명의 성인 자녀들이 기거할 집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아무래도 직업이 디자이너인 만큼 자신이 거주할 집에 대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이 있었을 것이다.

 

준공 2004/3
위치 도쿄도 스기 나미 구
건축 용도 전용 주택
부지 면적 86.60㎡ (26.20 평)
건축 면적 32.93㎡ (9.96 평)
연면적 85.05㎡ (25.73 평) ※ 법정
구조 RC 조 + 철골조
층수 지하 1 층 + 지상 2 층

 

의장 설계 야마시타 保博 +하라 구치 慎治 / 아틀리에 천공 인
구조 설계 사토 아츠시 / 사토 아츠시 구조 설계 사무소
시공 관리 마츠오카 시게키 + 上濱 俊寿 / 홈 빌더
사진 촬영 요시다 마코토

 

 

 

먼저 구조재가 특이하다. 건축가는 기본 구조재로 H450 × W900 × D300 × 6-9mm 의 철재 스토리지 박스를 쌓아올릴 것을 제안했고, 건축주 또한 이를 받아들여 이 집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조적(벽돌)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건축가의 이 구조재 제안은 협소한 지역으로의 [자재반입의 어려움]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진상으로는 사이트가 코너에 위치하고 있고 도로가 비교적 여유있어보이지만, 아마도 이곳으로 진입하기 위한 중간 어디쯤에선가 병목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

 

우리나라 또한 일반승용차조차 진입하기 어려운 지역이 드물지 않다는 것을 생각해볼때, 건축가의 이 아이디어는 참고할만해 보인다.

 

 

 

10평의 건폐율로 1~3층까지 쌓아올린 평면이다.

특이한 것은 1층에 Bed Room과 Diding Room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벽 대신에 계단 한 단 만큼의 단차를 둠으로써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으나, 개인적으로 내 취향은 아니다.

 

 

 

 

2층은 Void를 두어 좁은 공간에 개방감을 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Void가 아닌 곳에는 화장실이 있다. 호불호가 크게 나뉠것 같다.

 

 

 

 

3층에 있는 Bed-Room이다. 이 집에서 내가 고른 가장 맘에 드는 공간이다.

Top-Light때문인데, 비오는날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 보고만 있어도 힐링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지하. 이 지하공간은 여러모로 쓸모가 있어보인다.

벽면이 노출콘크리트인것처럼 보이는데, 음악을 듣기위한 곳으로 꾸미면 어떨까?

예전 어떤 박물관의 사방이 대리석으로 둘러쌓인 정말 커다란 전시실에 들어간 적이 있다. 마침 그곳에서는 한 라디오방송국에서 어느 아카펠라 중창단의 노래를 녹음하고 있었다.  사방에 음이 반사되며 퍼지던 노랫소리는 마치 천상의 소리같았다. 그때의 그곳과는 모든 것이 다르겠지만....로망으로써... 

 

 

 

디자인적으로는 내 취향은 분명 아니다.

여기저기 뻥뻥 뚫려있는 곳으로 들어오는 빛도 산만해보일것 같다.

철재로 이루어진 공간들은 차가와보인다. 차가운 낌을 커버하는 어떤 디자인적인 장치가 있었으면 좋았을것 같다.

난 따뜻한 집이 좋다.

 

다만, 건축가의 문제해결을 위한 고민과 시도는 흥미롭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