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협소주택

Galvanised Steel Panels

cover Irregularly Stacked Volumes

of Japanese Townhouse 

 

이번 주택은 그다지 협소하지는 않다.

 

 

 

 

Date : 2016.04

 
Type : Housing
Staff : Yuichi Yoshida, Satoru Ando
Location : Ishikawa, Japan

Site area(대지면적) : 117.65㎡(35.59평)

Building area(건축면적) : 69.88㎡(21.14평, 건폐율 약 59%)

Total floor area(연면적) : 190.41㎡(59.60평, 용적율 약 162%)

Structural systems : Steel + Reinforced-concrete
Scale : 3stories

 

 

유이치 요시다 건축설계사무소는 카나자와 변두리지역에 주변 주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형태의 주택을 완성하였다. 건물의 인테리어는 소박하고 건물의 층별 레이어는 불규칙적이다.

 

 Yuichi Yoshida & Associates has completed a house in the suburbs of the Japanese city of Kanazawa with pared-back interiors and an irregularly layered structure that challenges the area's housing typology.

 

 

 

 

 

 

도로에서 후퇴하여, 평범하지 않은 이 주택은 콘크리트베이스 위에 스틸패널로 덮인 두개의 층이 어긋나서 얹혀있는 형태를 이룬다. 건축가는 이시카와지역의 혹독한 기후에 견딜 수 있도록 아연도금강판 외장을 선택하였다. 이 강판은 시간이 지나며 빛이 바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Set back from the roadside, the unconventional house comprises two steel-clad volumes set askew on a concrete base. The architects chose galvanised steel cladding for it ability to withstand harsh climate conditions experienced in the Ishikawa Prefecture, while also gradually losing their shine over time.

 

 

 

 

 

 

 

"주변의 조망을 위해 우리는 대지보다 약간 작은 매스들로 앞뒤, 그리고 좌우로 약간씩 어긋나게 쌓았습니다"라고 건축가는 설명한다.

 

 "In order to pay attention to the surroundings, we stacked volumes that were slightly smaller than the site, while shifting them back and forth and to the left and right," explained the architects.

 

 

 

 

 

 

 

"아연강판은 어어컨장비에서부터 토목 및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처음에는 주변 빛을 반사하지만 아연이 부식되며 흐린 회색을 띄게 됩니다."

 

 "The exterior cladding is used in all fields, from air conditioning equipment, to civil engineering infrastructure and automobiles," they continued. "Initially it has a gloss that reflects the surroundings, but zinc gradually dissolves and becomes a dull grey."

 

 

 

 

 

 

 

Shinbohon House K는 두개의 일광욕실과 나란히 세개의 침실과 오픈된 주방 및 거실을 두었으며, 서비스공간과 다용도실을 집 뒷쪽으로 묶어놓았다. 삐뚤빼뚤한 외관과는 대조적으로 각 실은 밝고 희게 마감했으며, 가구와 마감재료로 구분을 지어놓았다.

 

Alongside two sun rooms, Shinbohon House K comprises three bedrooms and an open-plan kitchen and living area, while service spaces including a contemporary bathroom and utility room are grouped at the rear of the house. In contrast to its haphazard exterior, each of these rooms features a flush, bright white finish, differentiated by the choice of furniture and materials.

 

 

 

 

 

 

 

집안 전체적으로 단색의 가구류들, 대리석과 검은색 목재바닥들 속에서 화분 또는 몇 개의 그림들의 색이 강조되도록 하였다. 집의 전면의 투명도가 각 층마다 증가하며 외부로의 시선은 공간구분을 돕는다.

 

Teamed with monochrome cabinetry, and marble and black timber flooring, plants and a few art works introduce the only splashes of colour throughout the house. With the transparency of the building's facade increasing with each floor, outward views also assist in the differentiation of the spaces.

 

 

 

 

 

 

 

 

 

1층은 도로변의 주차장과 완벽히 분리시켜서, 겨울철 눈으로부터의 보호와 주인침실의 프라이버시를 확보하였다. 하지만 1층 방의 충분한 빛과 환기를 위해 2층을 옆으로 어긋나게 배치함으로써 천정으로부터 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였다.

 

The ground floor is entirely closed off from the outside, excluding a built-in garage at the roadside, which is designed to alleviate the burden of winter snow and maintain privacy for the master bedroom. However, to ensure there is sufficient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in the ground floor rooms, a skylight has been incorporated where the first floor has been shifted sideways from the foundations.

 

 

 

 

 

 

 

 

 

 

이웃의 시선으로부터 어긋나도록 1층 창을 배치하였으며, 그것도 뷰가 좋은 지점에만 설치하였다. 1층의 특징과는 완벽히 대조적으로, 2층은 거실에 자연광을 충분히 받아들이며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외부로의 다양한 조망을 제공한다.

 

Windows are introduced on the first floor, out of sight from neighbouring houses, and only where there is an interesting view. In complete contrast to the ground floor, the second floor features several outward views, creating a sense of openness while flooding the open-plan living room with natural light.

 

 

 

 

 

 

 

 

2층에는 반쯤 외부로 노출된 계단실이 여기를 통해 적당한 크기의 지붕테라스로 올라갈 수 있다. 테라스는 집주인을 위한 외부공간으로써, 빼곡히 들어선 주변 집들 대신 이웃 집들의 지붕층 위로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도록 했다.

 

From the second floor, there is a semi-outdoor staircase that leads to a generously sized roof terrace. The terrace forms an outside space for the homeowner that offers a private escape from the densely packed neighbourhood, offering views out over the roofs of the surrounding buildings.

 

 

 

 

 

 

 

 

 

 

 

추운 겨울동안 지붕에 올라가기가 어려울 때에도, 거주자가 1층과 2층의 일광욕실에서 낮의 해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However when the roof is inaccessible during harsh winter, the occupants are still able to enjoy daylight and privacy by retiring to the sun rooms on the first and second floor.

 

 

 

 

 

 

 

Plans & Elevation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Holiday Home by Masato Sekiya

Cantilevers Over a Rover Bank in Nara Prefecture

 

집이 좁긴 하지만 내가 소개하는 통상의 협소주택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

일단 협소주택의 목적이 도시지역의 좁은 땅을 활용하여 쓸만한 집을 짓는 것인데, 이 집은 주말 별장으로 활용되는 점에서 보통의 협소주택과는 그 쓰임이 다르다.

하지만, 내가 특히 이 집에 끌리는 이유는 다른 글에서도 언급했던 것과 같이 순전히 개인적인 나의 로망 때문이다.

 

'벼랑 위의 전망 끝내주는 작은 집'

 

 

 

 

 해발 600m에 있는 텐카와 마을에 위치한 대지는 오미네산맥에 둘러싸여있다.

의사부부를 위한 주말주택으로 디자인된 이 집은 강의 벼랑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곳은 이들 부부가 '아유'라는 일종의 플라잉피싱을 즐기는 장소이기도 하다. 건축가가 '자연 위에 떠있는 공간'아라고 묘사했듯, 건물은 텐강 위 17m 높이에 위치하며 숲의 멋진 풍경을 제공한다.

 

Located in Tenkawa village, 600 metres above sea level, the site is surrounded by the Omine mountain range.

The house, which was designed as a holiday villa for a doctor and his wife, protrude out from the cliff edge above a river – a spot where the couple enjoy practicing a type of fly fishing called ayu. Described by the architects as "a space floating in nature", the building's lofty perch provides it with spectacular views across the forest and the Ten River, which is 17 metres below.

 

 

 

 

 

 

 

 

 

 

 "계획 초기 건축주가 단순한 낚시를 위한 집을 제안했을 때부터 저는 어려움을 알고 파악했습니다." 라고 도쿄에서 일하고 있는 건축가 마사토 세키야씨는 설명했다. 대지의 많은 부분이 텐강 위로 17m나 오르는 급경사였고, 평평한 부분은 6평방미터밖에 안되었지요. 그래서 차 2대를 세울 주차장을 설치하고 나면 남는 공간이 아예 없었어요"

 

"Even in the initial stage of planning, when the owner suggested that he would be satisfied with a simple fishing cabin, I perceived difficulties," explained Tokyo-based architect Masato Sekiya. "A large percentage of the site was a steep slope inclining 17 metres toward the Ten River, and the flat area was only six metres square, so once parking for two cars was established, there was no room for a building."

 

 

 

 

 

 급경사의 강둑이 붕괴되거나 또는 물이 범람할 위험도 있었기에 물가에 건물을 지지할 높은 기둥을 설치하자는 제안은 위험해보였다. 콘크리트 기둥으로 지지되는 튜브형 콘크리트구조는물이 암반 위에 설치되고 콘크리트 덩어리를 평형추로 설치했다.

 

 

Faced with the possibility that the sharply inclined riverbank could collapse or the water could rise, the suggestion of setting a tall pillar on the shore to support the residence was deemed too dangerous.The building's tubula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is installed on flat bedrock, with a concrete pillar as a fulcrum, and a mass of concrete as a counterweight.

 

 

 

 

 

 검토과정에서 도로옆으로 1층에는 주차장, 2층에 거주공간을 두는 2층 구조물이 검토되기도 했지만 세키야의 결론은 이 높은 건물이 주변 경관을 해치게 될 것이라는 것이었다.

 

 The practice also explor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a two-floor structure beside the road, with parking on the first floor and a residence on the second, however, Sekiya concluded that the tall building would ruin the scenery.

 

 

 

 

 

 "저의 해결책은 거의 암반까지 파내려가서 건물을 앉히고 그것을 강 위 공중으로 확장시키는 것이었습니다." 세키야는 이 프로젝트를 Cliff House로 이름지었다. 

"결과적으로 저희는 너비 5.2m, 높이 2.5m의 튜브형 콘크리트로 6m의 캔틸레버를 만들었습니다. 또한 충분한 내부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었습니다"

 

 "My solution was to dig down nearly to the bedrock and sink the building into the ground, then extend it out into the air over the river," said Sekiya, who named the project Cliff House.

"As a result, we created a six-metre cantilever with a tubular reinforced concrete frame [measuring] 5.2 by 2.5 meters, and we were able to secure sufficient internal space."

 

 

 

 

 

 

 

 

 

 

 

 

 평면구성으로 한쪽에는 여분의 침실과 부엌, 세탁실 그리고 욕실을 두었으며 반대쪽에는 부부침실과 거실 그리고 데크를 두었다. 돌출된 쪽의 건물 끝은 오픈되어 있어서 강건너 풍경을 액자처럼 보여준다. 

 

 Inside, the plan is partitioned lengthways with the spare bedroom, kitchen, laundry and bathroom located on one side, and the master bedroom, living room and deck area on the other. The end of the building that extends outwards is open, framing views across the river.

 

 

 

 

 

 

 

 

 

 

 

세키야의 레이아웃에 대한 설명은 이러하다. "빛이 가장 필요한 부분은 데크이고, 그 다음은 거실과 식당, 마지막이 침실이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순서로 평면배치를 했습니다. 각각의 공간은 완전히 접힐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로 구분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바깥의 풍경이 침실까지 흘러들어올 수 있도록 했습니다."

 

 "The area most needing light is the deck area, the next is the living/dining room and last is the bedroom, so they are arranged in this order," said Sekiya of the layout.

"Each area is separated by sliding doors that can be folded back completely, and by opening the sliding doors, the view of the green landscape flows through to the bedroom."

 

 

 

 

 

 

 

 

 

 주변의 경관에 미칠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옥상은 도로레벨의 잔디마당으로 구성했다.

 

 Seeking to make minimal impact on its surroundings, the sunken house's roof becomes a lawn, which is all that can be seen from the road.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House in Minami-Tanba

by FujiwaraMuro Architects

 

소재의 특이성때문에 소개해 본다.

전면부에 스테인레스 커튼을 설치했다.

국내에서는 이 재료를 취급하는 곳이 검색되지 않는다.  

 

 

 

 

  • Site area

    63.45 m2

 

 

가로 3.75m x 세로 16.92m의 좁고 긴 대지에 위치한 기존 Row House(테라스하우스)를 허물고 새로운 주택들 짓게 되었다. 디자인은 이러한 대지의 독특한 모양을 적용하여 긴 시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스킵플로어형식의 바닥은 지하층과 3개의 지상층에서 오버랩되어 구획되며 여러 방향에서의 시각적인 개방을 제공한다. 지하층은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1층은 출입구, 2층은 거실과 식당 및 부엌을 연결하고 있다. 3층은 침실과 욕실로 사용되며, 그 위로는 루프탑 공간이 위치한다. 

 

 From the architect. The existing row house on this long, narrow property measuring 3.75 m across and 16.92 m deep was torn down to make way for a new residence. The design adapts to the distinctive site by playing up deep lines of sight. Segmented split-level floors overlap with one basement and three above-ground floors, providing visual outlets in a number of directions. The basement contains a multi-purpose space, the first floor an entryway, the second floor a combined living-dining-kitchen area and desk space, the third floor bedrooms and bathrooms, and above that there is a rooftop area.  

 

 

 

 

 

 

 

 

 

분산된 계단들은 분리된 레벨의 바닥들을 연결하며 수직적인 순환루트를 만들고, 집 안에서 단순히 '움직이는'것이 아닌 천천히 거닐 수 있는 인상적인 형태를 제공한다. 대지의 위치가 외부 경관을 조망하기에는 좋지 않은 조건을 가지고 있어서 우리는 내부를 조망하는 방향으로 인테리어를 계획하게 되었다. 거주자는 집안의 다양한 장소에서 서서 또는 앉아서 이러한 '내부의 경관'을 즐길 수 있다. 이는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곳이 아닌 '시간에 대하여 생각하는' 장소를 디자인하려는 의도였다.

 

 Scattered staircases connecting the split-level floors create multiple up-down circulation routes, giving form to an image of wandering through the house rather than moving monotonously within it. The nature of the site is ill-suited to gazing at exterior views, so we approached the interior as a landscape of its own. Residents are able to stand or sit at various spots inside the house and enjoy this interior landscape. The idea was not simply to design a place for spending time but rather to think about time.  

 

 

 

외부의 전면부에는 스텐레스메쉬로 된 커튼을 매달았다. 이 커튼은 엿보는 시선을 돌리기 위해 닫아놓을 수도 있으며, 개방감을 위하여 열어놓을 수도 있다. 사람들은 흔히 스텐레스커튼이라 하면 단단한 금속을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바람에 흔들리며 놀랍도록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전면은 낮동안에는 빛을 통과시키면서도 프라이버시를 지킬 수 있도록 하며, 밤에는 내부의 빛으로 인해 빛나는 베일로 변하기도 한다.

 

Outside, a stainless-steel chain curtain hangs across the façade. It can be closed to gently deflects prying eyes or opened to provide a feeling of expansiveness. While people tend to associate stainless steel curtains with the hardness of metal, when used on a building-sized scale, they flutter in the wind and convey a surprisingly soft impression. The result is a façade that lets in light while maintaining privacy during the day, and at night turns into a glittering veil illuminated by the interior lighting.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의 협소주택

Vista House by APOLLO Architects & Associates

 

 

 

위치

 Nishidai Itabashi ward Tokyo

완공

 2011.10

 대지면적

 85.06㎡ (25.73평)

건축면적

 54.86㎡ (16.60평)

 1F 바닥면적

 42.02㎡

 2F 바닥면적

 47.41㎡

 3F 바닥면적

 22.35㎡

 연면적

 111.78㎡ (33.81평)

 구조

 Timber structure

 규모

 3F

구분

 Private housing

 가족구성

 A couple (30s) + a child

 구조엔지니어

 Masaki Structure Laboratory

 

 Kenta Masaki

설비엔지니어

 Shimada Architects

 

 Zenei Shimada

 시공

 Maekawa Construction

 사진

 Masao Nishikawa

 

 

한 번은 일본과 한국의 건축법에 대하여 비교자료를 찾아서 올려보려 한다.

1990년대부터 생겨나기 시작한 일본의 틈새주택들은 말 그대로 "틈새"에 들어가 있는 경우도 상당수 보인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옆집과의 경계선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어야 하고, 도로로부터의 이격거리, 사선제한 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다. 일본도 분명 건축법상의 제한이 있겠지만, 사례들을 볼 때, 차이를 보이지 않을까 추측해본다.

 

위의 개요에서 보이듯, 이 집의 대지면적은 약 26평에 건축면적은 16평, 연면적은 34평정도이다.

대략 분석을 해보면, 건폐율 61%, 용적률은 130% 정도로 대략 우리나라의 면적제한 범위 내에 얼추 들어온다.

또한 대지는 언덕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볼 때, 언덕이 많은 서울에서 적당한 규모의 자신의 집을 짓고자 하는 사람들이 참고할 점이 있을것 같다.

 

 

우선 건축사무소 홈페이지의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다.

집주인은 30대로 남편은 광고회사에 다니고 있으며 모터사이클을 좋아한다. 그리고 아내는 음식관련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작은 언덕 위에 위치한 작은 땅을 구매했다. 이 프로젝트는 새로 태어난 아기와 이들 부부가 살 집을 짓는 것이었다.

언덕위에서 북쪽으로 내려다보는 풍경이 근사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서 북쪽면에는 넓은 파노라마 창을 설치했다. 1층에는 침실과 욕실이 위치해 있으며, 2층에는 사면에 도서관과 같은 책장을 설치했다. 그리고 3층에는 아이의 방과 전망을 위한 테라스를 배치했다. 입구에는 주인이 좋아하는 두카티 바이크를 주차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

아래쪽에서 올려다보면 흰 매스가 공중에 떠있는듯한 인상을 보여준다.

언덕 위에 있는 대지는 내 로망중 하나이다. 경사가 급한 산지에 위치한 대지, 그래서 오히려 절벽같아 보이는 대지는 건축공사의 난이를 떠나서 나의 큰 로망이다. 지붕으로는 윗쪽의 도로에서 진입할 수 있고, 1층은 아래쪽 도로에서 진입할 수 있는 절묘한 위치에 자리잡은 대지라면 더 좋겠다.

이런 내 로망에 비추어 본다면 위의 대지는 그 조건에 상당히 근접하다. 다만, 아랫면 바로 앞에 옹벽구조물과 축대가 있어서 지하공간으로부터의 뷰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여건이 아쉽다.

좁은 짐에서의 흰색 내장은 일종의 진리로 받아들여지는것 같다.

공간이 좁다보니 조금이라도 넓어보여야 할테고, 그래서 넓어보이려는 갖가지 종류의 트릭들이 동원되고 있는 것을 자주 본다. 밝은 색, 특히 흰색을 메인 컬러로하여 곳곳에 목재로 포인트를 주고 계단 참을 오픈하여 막힌듯한 뷰를 오픈해 준다든지 하는 각종의 장치들이, 이제는 하도 많아서 클리쉐가 된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도 한때는 새로운 시도들이었을 것이다.

뭐 넓어보이기 위한 시도들이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내가 잘 이해가 안가는 부분은 위의 사진에 있는 바닥 단차이다.

난 집을 기계라고 주장했던 근대의 건축가들의 극단적 주장에 어느 정도는 동의한다. 공간들은 공기처럼 소리소문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걸으며 발끝이 채이지는 않을까, 이마가 부딪이지는 않을까 하는 것을 신경 쓸 필요가 없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것은 내 개인적인 생각이다. 내가 내 집을 지을때나 구현할 수 있는 각종의 생각들 중 하나이다.

위의 바닥 단차는 그 의도와 용도, 또는 그래야만 하는 어떠한 사정도 추측이 안된다. 뭘까...

 

 

 

 

욕조 위 천정에 달려있는 저 네모난 것은 무엇일까? 조명? 스피커였으면 좋겠다.

멋진 건축사진의 필수, 야간에 불켜놓고 찍은 사진을 마지막으로 올린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 협소주택

4X4 House by Ando Tadao

 

 

안도 다다오

 

안도 다다오는 일본의 대표건축가중 한사람이라는 표현보다는 그냥 [일본의 대표건축가]라고 부르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울, 넘사벽의 명성을 가진 사람이다.

정규교육을 받지 않은 건축가, 복싱선수 이력이 있는 건축가 등 서점에 위인전도 나와있을만큼 명성이 자자하다.

젊은시절 그 유명한 르 코르뷔제를 만나러 당시만해도 어렵다는 해외여행을 해가며 찾아갔지만 그가 도착하기 몇일 전에 코르뷔제는 세상을 떠나게 되는 바람에 끝내 만나지를 못했다는 일화 또한 유명하다.

 

 

 

 

 

Built in
2003
Land Area
117.19 m2
Floor Area
22.56 m2
Location
Tarumi-ku, Kobe, Hyogo, Japan

 

 원래 프로젝트는 어느 잡지사의 콘테스트로 시작되어 한 동이 먼저 들어서게 된다. 그 후 또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나머지 한 동이 들어서게 된다. 아마도 안도는 본래 두 동으로 컨셉을 잡았던 것 같다.

 

 

 

 

 

4x4라는 이름은 한 층의 바닥면적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건물 바닥의 가로와 세로가 각각 약 4m이다.

두 건물은 건축주의 요청에 의하여 몇가지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첫번째로 왼쪽의 건물은 계단으로만 오르내리게 되어있고 오른쪽의 건물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하나는 재료인데, 왼쪽 건물은 콘크리트만을 사용하였고, 오른쪽 건물에는 나무도 같이 사용되었다.

 

 

 

 

노출콘크리트

 

안도다다오의 Signature인 노출콘크리트가 역시 사용되었다.

"노출콘크리트로 만들면 자재비를 아낄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품질이 정교하기 위해서는 외장마감을 하는 것 보다 오히려 더 많은 돈이 든다. 콘크리트 성형을 위한 형틀을 떼어낸 상태로 마감이 되는 것인데, 실력 없는 업체를 만나면 폼을 테어내고 견출하고 미장까지 해야 할지도 모른다. 비용은 비용대로, 품질은 품질대로, 건물은 누더기가 된다.

 

 

 

 

고베의 아사히해협과 대교를 바라보며 서있는 집의 맨 위층에서 바라본 풍경은 그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다. 이곳은 주방과 식당으로 사용된다. 각 층별 용도를 보면, 지하는 창고로, 1층은 입구, 2층은 침실, 3층은 서재, 그리고 4층이 위와 같이 사용되고 있다.

 

 

 

 

 

 

 

살기는 어떨까?

 

 

난 항상 이 생각을 한다.

멋있지만 살기에 불편하다면, 집은 아니다.

근대 건축가들의 그 유명한 집들도 실제로는 이러저러한 이유로 지금은 사람이 살지 않는다.

단순히 작품이라서가 아니라, 불편하기 때문에 살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나에게는 항상 바깥보다는 그 내부가 더 중요하다. 또한 밖의 풍경보다 집 안의 아늑함이 훨씬 중요하다. 내 경험상, 밖은 좋은 경치는 집을 구할때 말고는 본 기억이 없다.

 

그래서, 집은 비어있을 때보다 살림을 위한 물건들이 들어차 있을 때가 더 진실하다.

 

 

 

 

위에서처럼, 살기 위한 각종의 물건들이 들어차 있는 것이 본모습이고, 본래의 효용인 것이다.

하나 더하자면, 집은 그 자체의 모양보다는 사람과 어울려 있을 때에 그 진가가 나온다.

 

 

 

 

우리는 집을 모시고 살지 않는다. 집'에' 사는것이다. 대부분은 집 안에서, 가끔은 주위에서 사람들과 이야기 나누고, 음식을 먹으며 산다. 그것이 '사람과 생활용품이 들어차있는 집'의 모습이 더욱 궁금하고 소중한 이유이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

일본 협소주택

 

Cell Brick by Artelier Tekuto

 

 

 

 

직업 디자이너인 건축주와 2명의 성인 자녀들이 기거할 집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아무래도 직업이 디자이너인 만큼 자신이 거주할 집에 대한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이 있었을 것이다.

 

준공 2004/3
위치 도쿄도 스기 나미 구
건축 용도 전용 주택
부지 면적 86.60㎡ (26.20 평)
건축 면적 32.93㎡ (9.96 평)
연면적 85.05㎡ (25.73 평) ※ 법정
구조 RC 조 + 철골조
층수 지하 1 층 + 지상 2 층

 

의장 설계 야마시타 保博 +하라 구치 慎治 / 아틀리에 천공 인
구조 설계 사토 아츠시 / 사토 아츠시 구조 설계 사무소
시공 관리 마츠오카 시게키 + 上濱 俊寿 / 홈 빌더
사진 촬영 요시다 마코토

 

 

 

먼저 구조재가 특이하다. 건축가는 기본 구조재로 H450 × W900 × D300 × 6-9mm 의 철재 스토리지 박스를 쌓아올릴 것을 제안했고, 건축주 또한 이를 받아들여 이 집이 만들어지게 된다. 즉 기본적으로 조적(벽돌)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된다.

 

 

 

건축가의 이 구조재 제안은 협소한 지역으로의 [자재반입의 어려움]이라는 현실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다. 사진상으로는 사이트가 코너에 위치하고 있고 도로가 비교적 여유있어보이지만, 아마도 이곳으로 진입하기 위한 중간 어디쯤에선가 병목이 있지 않았을까 싶다.

 

우리나라 또한 일반승용차조차 진입하기 어려운 지역이 드물지 않다는 것을 생각해볼때, 건축가의 이 아이디어는 참고할만해 보인다.

 

 

 

10평의 건폐율로 1~3층까지 쌓아올린 평면이다.

특이한 것은 1층에 Bed Room과 Diding Room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벽 대신에 계단 한 단 만큼의 단차를 둠으로써 공간을 구분하고 있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으나, 개인적으로 내 취향은 아니다.

 

 

 

 

2층은 Void를 두어 좁은 공간에 개방감을 주려 한 것으로 보인다.

 

 

 

 

 

Void가 아닌 곳에는 화장실이 있다. 호불호가 크게 나뉠것 같다.

 

 

 

 

3층에 있는 Bed-Room이다. 이 집에서 내가 고른 가장 맘에 드는 공간이다.

Top-Light때문인데, 비오는날 빗방울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 보고만 있어도 힐링이 될 것 같다.

 

 

 

그리고 지하. 이 지하공간은 여러모로 쓸모가 있어보인다.

벽면이 노출콘크리트인것처럼 보이는데, 음악을 듣기위한 곳으로 꾸미면 어떨까?

예전 어떤 박물관의 사방이 대리석으로 둘러쌓인 정말 커다란 전시실에 들어간 적이 있다. 마침 그곳에서는 한 라디오방송국에서 어느 아카펠라 중창단의 노래를 녹음하고 있었다.  사방에 음이 반사되며 퍼지던 노랫소리는 마치 천상의 소리같았다. 그때의 그곳과는 모든 것이 다르겠지만....로망으로써... 

 

 

 

디자인적으로는 내 취향은 분명 아니다.

여기저기 뻥뻥 뚫려있는 곳으로 들어오는 빛도 산만해보일것 같다.

철재로 이루어진 공간들은 차가와보인다. 차가운 낌을 커버하는 어떤 디자인적인 장치가 있었으면 좋았을것 같다.

난 따뜻한 집이 좋다.

 

다만, 건축가의 문제해결을 위한 고민과 시도는 흥미롭다.

 

 

 

 

Posted by 徐烏(Slow Crow)
: